전체 글 (67) 썸네일형 리스트형 [React] 리액트의 동작 원리 리액트는 프론트 엔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리액트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동작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DOMDOM은 웹 페이지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입니다.HTML 문서의 요소들을 트리 구조로 표현해서, 각 요소에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제목 내용 document └── html ├── head │ └── title │ └── "예시 페이지" └── body └── div#root ├── h1 │ └── "제목" └── p .. [TypeScript] 클래스 알아보기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포함한 클래스가 있습니다.타입스크립트는 이 기능에 더해 타입 지정과 접근 제어자 기능을 제공해 코드의 안전성을 높입니다.이번 글에서는 타입스크립트의 클래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클래스 선언class Mountain { name: string; height: number; constructor(name: string, height: number) { this.name = name; this.height = height; } guide() { console.log(`이 산은 ${this.name}이고 높이는 ${this.height}미터입니다.`); }}const hallasan = new Mountain('한라산', 1947.06..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알아보기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타입 언어이기 때문에 유연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이런 유연성은 때로는 오류를 발생하기도 합니다.타입스크립트는 이 점을 보완하여 컴파일 단계에서 타입 오류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합니다.정적 타입 지원타입스크립트의 가장 큰 특징은 함수의 인자, 반환값 등에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function add(a: number, b: number): number { return a + b;}console.log(add(5, 3)); // 8 출력console.log(add('5', 3)); // 오류 발생예시처럼 숫자만 인수로 받을 수 있게 작성하면 잘못된 데이터가 들어왔을 때 컴파일러가 오류를 미리 알려줍니다. 기본 타입number: 숫자형 타입입니다. 정수,.. [프로그래밍 이론]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는 물리적/개념적 존재 중에서 다른 것과 식별이 가능한 것을 말합니다.물리적 객체는 자동차, 사람을 개념적 객체는 강의, 주문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객체는 속성(데이터)와 동작(메서드)를 요소로 가지고 있습니다.그리고 이런 객체들을 조합해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우리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라고 부릅니다.추상화추상화는 세부 사항을 제거하고 공통적인 부분만 추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동물이라는 객체를 만들 때 이동 방식처럼 중요한 속성과 메서드만 포함하는 것이죠.추상화를 하면 코드가 간결해지고, 유지 보수 및 확장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상속상속은 기존의 클래스를 확장해서 새로운 클래스를 만드는 개념입니다.부모 클래스를 물려받은 자식 클래스는 부모의 속성과 메서드를 재사용할 수.. [C] 포인터 기초 C 언어의 변수는 모두 메모리의 주소값을 가지고 있습니다.메모리의 주소값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시작 주소를 의미합니다.오늘은 메모리의 주소값을 저장하는 포인터라는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연산자포인터에는 주소 연산자와 참조 연산자가 사용됩니다.주소 연산자는 & 기호를 사용합니다.변수의 앞에 붙여 사용하고, 해당 변수의 시작 주소를 반환합니다.참조 연산자는 * 기호를 사용합니다.포인터를 선언할 때 사용하거나, 메모리의 주소에 접근하여 저장된 값을 가져올 때 사용합니다.#include int main() { int num = 5; int *pnum = # printf("num의 값: %d\n", num); // num의 값: 5 printf("num의 주소: %p\n", &num); //.. [JAVA] 원시 타입과 참조 타입 변수는 원시 타입과 참조 타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원시 타입은 정수, 실수 등 실제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이고참조 타입은 객체의 주소처럼 메모리의 주소 값을 통해서 객체를 참조하는 타입입니다.원시 타입원시 타입은 정적 메모리 영역인 스택에 저장합니다.종류데이터형크기(byte)데이터 범위논리형boolean1true 또는 false문자형char2'\u0000' ~ '\uFFFF'정수형byte1-128 ~ 127정수형short2-32,768~32,767정수형int4-2,147,483,648 ~ 2,147,483,647정수형long8-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실수형float4-3.4 * 10^38 ~ 3.4 * 10^38실수형double.. [JavaScript] 실행 컨텍스트와 렉시컬 환경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면서 스코프, 호이스팅, 클로저 등 주요 동작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자바스크립트가 어떻게 코드를 처리하는지 기본적인 개념이 잡혀있지 않아서 생긴 문제였고,실행 컨텍스트와 렉시컬 환경에 대해서 개념을 잡고자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실행 컨텍스트실행 컨텍스트는 코드를 실행할 때 필요한 환경 정보를 모아놓은 객체를 의미합니다.여기서 환경 변수는 선언된 변수와 함수, this, arguments 등을 의미합니다.이제 실행 컨텍스트 중에서 전역 실행 컨텍스트와 함수 실행 컨텍스트를 알아보겠습니다.전역 실행 컨텍스트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코드를 실행하면서 생성합니다.단 하나의 컨텍스트가 만들어지고 전역 객체와 변수를 관리합니다.콜 스택에 호출된 전역 실행 컨텍스트는 프로그램이 종료하기..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의 일급 함수 리액트를 배워보면서 일급 함수라는 개념이 종종 등장하였습니다.자바를 주로 사용하던 저에게는 생소한 개념이었습니다.왜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함수라고 부르는 걸까요?이번 글에서는 일급 함수가 무엇인지 그 조건에 대해서 작성해보겠습니다.일급 함수단어의 생김새만 봐서는 무언가 뛰어난 함수를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단어의 의미를 말하기에 앞서, 일급 객체의 조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일급 객체는 변수나 자료구조에 저장할 수 있어야 합니다.일급 객체는 매개변수의 인자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일급 객체는 함수의 반환값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보셨듯이 간단한 정수와 실수 자료형은 대부분 일급 객체에 속합니다.그럼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객체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일까요?예제를 통해 이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이전 1 2 3 4 5 6 ··· 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