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QL

(3)
[SQL] IN 연산자 알아보기 우리는 조건과 일치하는 행을 보고 싶을 때 WHERE 절을 이용합니다.예를 들어 딸기와 메론이 들어가는 아이스크림을 찾고 있다면 이렇게 쿼리를 보낼 것입니다.SELECT *FROM icecreamWHERE ingredient = '딸기' OR ingredient = '메론';그렇다면 추가로 수박이 들어가는 아이스크림을 찾고 싶다면?계속 OR 절을 붙여 늘려가야 하는 것일까요?👆 IN값을 하나만 지정할 수 있는 = 연산자와 다르게 여러 개의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위 예시에서 IN 절을 넣어 쿼리를 수정해보겠습니다.SELECT *FROM icecreamWHERE ingredient IN ('딸기', '메론');연산자가 줄어서 쿼리가 간단해지고 이해하기 쉬워졌습니다.이번 글은 짧게 마무리 되었네요.글..
[SQL] JOIN으로 테이블을 합쳐보자 지난번 포스트에서 정규화를 알아보았습니다.종속 관계인 속성을 제거하였지만, 테이블을 다시 합쳐 사용할 때가 생깁니다.예를 들어서 한 유저가 작성한 댓글들을 모아서 확인할 때,우리는 유저 테이블과 댓글 테이블을 조합해야 합니다.🍡 테이블을 하나로 연결하는 JOINJOIN은 SQL을 사용하면 빼놓을 수 없는 키워드입니다.사전적인 정의는 연결하다, 잇다 등으로데이터베이스에서는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결합하는 데 사용합니다./* JOIN 예시 */SELECT * FROM `user`JOIN `comment`ON `user`.id = `comment`.user_id;  이제부터 다양한 유형의 JOIN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INNER) JOININNER JOIN은 두 테이블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부분만 ..
[SQL] 데이터를 내 마음대로, DML 이전 포스트에서 CRUD를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매우 직관적인 키워드로 데이터의 처리를 돕고 있습니다.이러한 쿼리 언어를 SQL이라고 하고, 그 중 데이터를 조작하는 쿼리를 DML이라고 합니다.🔎 SELECTSELECT '컬럼명' FROM '테이블명';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입니다.SELECT로 가져오고 싶은 컬럼을 선택하고 FROM으로 정보가 있는 테이블을 선택합니다. 🔎 INSERT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컬럼3`)VALUES (`값1`, `값2`, `값3`);테이블에 새로운 레코드를 입력하는 명령어입니다.삽입할 컬럼과 값을 동일한 개수로 입력해줍니다.만약, 모든 컬럼에 값을 추가할 시에는 컬럼을 생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