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8)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Hub] 커밋 컨벤션을 알아보자 코드 작업을 하고 깃허브에 푸시하기 전에 우리는 커밋 메시지를 작성합니다.# Bad: 커밋 메시지에 의미가 없다git commit -m "버그 수정"# Bad: 커밋 메시지가 너무 길다git commit -m "사용자가 인증 요청을 보내면 사용자에게 인증 번호를 문자로 전송하는 기능 추가"저는 처음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때는 대체로 이런식으로 커밋을 했습니다.하지만 이런 식의 커밋은 히스토리를 봐도 변경사항을 파악하기 힘들고 팀원들도 제가 무슨 작업을 했는지 명확히 알 수 없었습니다.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움이 됐던 방법을 적어보고자 합니다.커밋 메시지 템플릿가장 먼저 커밋 메시지 구조를 구성하는 것입니다.type: 제목body (옵션)footer (옵션)여기서 type은 커밋의 종류를 나타내며, 주로 .. [GitHub] 깃 이슈 알아보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레포지토리에서 깃 이슈 탭을 확인해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처음에는 단순히 버그 리포트만 한다고 생각하며 넘겼는데 프로젝트에서 직접 사용해보면서 그게 아니라고 느꼈습니다.오늘은 깃 이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Git Issue깃 이슈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해야 할 일 기록버그 리포트새로운 기능 제안팀원들과의 토론외에도 프로젝트와 관련된 거의 모든 것을 기록하고 소통하는 공간입니다. Issue Template깃 이슈에 사용할 템플릿을 깃허브에서 등록할 수 있습니다.설정에 들어가 General 탭을 확인해보면 템플릿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이 있습니다.# .github/ISSUE_TEMPLATE/feature.md---name: 기능 개발about: 새로운 기능 개발---.. 브랜치 전략과 병합 Git에는 브랜칭을 활용한 변경 이력 관리 전략이 있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브랜치 전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브랜치의 분류브랜치 전략에서는 브랜치를 5가지로 분류합니다.main: 서비스로 제공된 브랜치feature(기능): 새 기능을 개발하는 브랜치develop(개발): 다음 출시 버전을 개발하는 브랜치release(배포): 이번 출시 버전을 준비하는 브랜치hotfix(수정): 배포된 버전에서 문제가 있을지 즉시 수정을 하는 브랜치 브랜치의 병합분류한 브랜치에서 작업이 끝나면 다시 메인 브랜치로 합치는 작업을 합니다.이러한 작업을 Merge라고 부릅니다.Merge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브랜치 병합 - Fast-Forwardmain 브랜치에 작업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브랜치에만 작업이 존재하여.. 원격 브랜치 생성 이번 포스트에서는 협업을 위해서 Github에 원격 브랜치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Git Bash로 생성하기로컬 저장소에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고 변경하는 것은 이전 포스트에서 해보았습니다.이를 원격 저장소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생성한 브랜치로 변경하여 push 명령어를 사용해주어야 합니다.> git push 더보기원격 저장소 생성 실습Github 웹 인터페이스로 생성하기Github 웹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간단하게 원격 브랜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먼저, 브랜치 선택 메뉴를 눌러서 생성할 브랜치 이름을 작성합니다.이름을 작성한 후, 브랜치를 생성한다는 메뉴를 눌러서 브랜치를 생성합니다.새롭게 원격 브랜치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협업을 위해서 Github에 .. Branch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트에서 Github를 사용하면서 Branch라는 용어를 많이 접해봤습니다.이 브랜치는 정확하게 무엇일까요? 오늘은 브랜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브랜치의 개념브랜치는 독립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서, 정해진 기간 안에 여러 기능을 포함한 하나의 웹 페이지를 만들어야 합니다. 하지만, 개발자 한 명이 A 기능을 모두 구현할 때까지 다른 개발자가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면 시간이 부족합니다.브랜치를 이용해서 독립적인 작업 공간으로 분리하면 동시에 여러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브랜치 관리하기Git의 branch 명령어는 관리하는 브랜치를 보여줍니다.> git branch더보기브랜치 관리 실습브랜치 생성하기Git의 branch 명령어로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명.. Git 명령어 이전 포스트에서 설치한 Git으로 어떻게 버전 관리를 시작해야 할까요?이번 포스트에서는 Git의 기본적인 명령어에 대해서 작성해보겠습니다.1. init로컬 저장소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이라는 폴더가 생성됩니다.> git init명령어를 실행한 폴더는 버전 관리가 가능하며, 파일의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감지합니다.더보기 2. addGit의 Staging Area에 파일을 추가하는 명령어입니다.> git add subin.txt더보기 3. commit저장소(Repository)에 파일의 변경 사항을 저장하는 명령어입니다.버전이 변경되었다는 것이고, 해당 요구사항을 완결된 상태로 만들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git commit더보기 커밋 메시지를 작성하라는 안내와 함께 에디터가 .. Windows 11에서 Git 설치하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분산식 버전 관리 시스템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Git을 설치해보겠습니다.Git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무료로 다운할 수 있습니다.1. 설치 시작2. 폴더 선택3. 구성 요소 선택Windows Explorer integratio탐색기에서 Git Bash와 GUI를 열 수 있게 설정합니다.Git LFS용량이 큰 파일을 지원합니다.Associate .git* configuration files with the default text editorgit 구성 파일을 기본 텍스트 편집기와 연결합니다.Associate .sh files to be run with Bashsh 파일을 실행할 때 Bash와 연결합니다.ScalarScalar 도구를 설치합니다.4. 시작 메뉴 폴더 선택5. 기본 .. 마크다운과 버전 관리 시스템 이번 포스트에서는 버전 관리 시스템과 Git 사용자라면 누구나 마주할 마크다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마크다운의 개념마크다운은 마크업 언어의 한 종류입니다. 마크업 언어란 문서의 내용을 구조화하기 위해 규칙들을 정의한 언어입니다. 마크다운을 사용하면 기호를 사용하여 머리글, 목록, 글씨 기울임 등을 표현하고 쉽게 HTML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파일의 확장자명은 md를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Github 저장소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Readme.md가 있습니다. 마크다운 문법1. 제목#을 붙이면 제목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의 개수에 따라 , , ... , 태그로 변환됩니다.2. 목록숫자로 시작하면 순서가 있는 목록인 로 -로 시작하면 순서가 없는 목록인 로 변환됩니다.3. 강조문자를 강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