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

Github 알아보기

개발을 하다보면 자주 접하게 되는 Github는 Git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Github에 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Github의 개념

Github는 Git을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호스팅 서비스입니다.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확장된 기능을 만날 수 있고, 원격 저장소에 파일과 폴더를 저장하여 여러 개발자가 작업하기 용이합니다.

원격 저장소 생성하기

Github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Repository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측 상단의 +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저장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메뉴의 New repository

메뉴를 클릭하면 사진과 같은 UI가 화면에 표시됩니다.

소유자, 이름, 설명(선택 사항), 접근 권한을 설정하고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누르면 생성이 완료됩니다.

Repository 생성 화면

내 저장소 원격 저장소에 연결하기

Git의 remote 명령어를 통해서 Github에 url에 대한 별칭을 만들어 관리할 수 있습니다.

remote add 명령어를 사용하면 관리할 url을 추가합니다.

> git remote add <alias> <url>

remote 명령어를 사용하면 관리하고 있는 저장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v 옵션을 사용하면 연결된 url도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it remote -v
더보기

remote 실습

origin이라는 별칭으로 FirstRepo를 관리하는 모습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하기

Git의 push 명령어를 사용하면 Github의 원격 저장소에 로컬 브랜치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git push <remote> <branch>
더보기

push 실습

origin에 main 브랜치를 업로드하는 모습
원격 저장소에 올라간 브랜치의 모습

원격 저장소 복제하기

Git의 clone 명령어는 원격 저장소를 로컬에 복제하는 명령어입니다.

url은 원격 저장소의 주소이며, dir은 복제할 위치를 나타내고 보통은 생략합니다.

git clone <url> <dir>
더보기

clone 실습

빈 폴더에 FirstRepo를 복제
clone을 실행한 후 폴더의 모습

원격 저장소에서 가져오기

Git의 pull 명령어는 원격 저장소에서 데이터를 로컬로 가져옵니다.

명령어 뒤에 원격 저장소의 별칭과 브랜치명을 입력하여 가져올 수 있습니다.

> git pull <remote> <branch>
더보기

pull 실습

origin에서 main 브랜치를 가져오는 모습
새로 업로드한 파일이 추가된 모습

지금까지 Github에서 원격 저장소를 생성하고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받아보았습니다.

포스트에 언급된 브랜치가 궁금하다면 Branch 알아보기 포스트도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포스트를 끝까지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 브랜치 생성  (0) 2024.08.16
Branch 알아보기  (0) 2024.08.14
Git 명령어  (0) 2024.08.13
Windows 11에서 Git 설치하기  (0) 2024.08.13
마크다운과 버전 관리 시스템  (0) 2024.08.12